본문 바로가기
728x90

Python225

[Python] 백준 25305 커트라인(3) 백준 25305 커트라인 문제 2022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슬기로운 코딩생활에 N명의 학생들이 응시했다. 이들 중 점수가 가장 높은 k명은 상을 받을 것이다. 이 때, 상을 받는 커트라인이 몇 점인지 구하라. 커트라인이란 상을 받는 사람들 중 점수가 가장 가장 낮은 사람의 점수를 말한다. 입력 첫째 줄에는 응시자의 수 N과 상을 받는 사람의 수 k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각 학생의 점수 x가 공백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상을 받는 커트라인을 출력하라. 제출 n,k=map(int,input().split()) l=sorted(map(int,input().split())) print(l[n-k]) 예제 5 2 100 76 85 93 98 결과 25305번.. 2023. 1. 31.
[Python] 백준 2587 대표값2 - 정렬(2) 백준 2587 대표값2 문제 어떤 수들이 있을 때, 그 수들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흔하게 쓰이는 것은 평균이다. 평균은 주어진 모든 수의 합을 수의 개수로 나눈 것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평균은 (10 + 40 + 30 + 60 + 30) / 5 = 170 / 5 = 34가 된다. 평균 이외의 또 다른 대표값으로 중앙값이라는 것이 있다. 중앙값은 주어진 수를 크기 순서대로 늘어 놓았을 때 가장 중앙에 놓인 값이다. 예를 들어 10, 40, 30, 60, 30의 경우, 크기 순서대로 늘어 놓으면 10 30 30 40 60 이 되고 따라서 중앙값은 30이 된다. 다섯 개의 자연수가 주어질 때 이들의 평균과 중앙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부터 다섯 번째 줄까.. 2023. 1. 29.
[Python] 백준 9020 골드바흐의 추측 - 기본 수학2(6) 백준 9020 골드바흐의 추측 문제 1보다 큰 자연수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가 없는 자연수를 소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5는 1과 5를 제외한 약수가 없기 때문에 소수이다. 하지만, 6은 6 = 2 × 3 이기 때문에 소수가 아니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유명한 정수론의 미해결 문제로,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를 골드바흐 수라고 한다. 또, 짝수를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내는 표현을 그 수의 골드바흐 파티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4 = 2 + 2, 6 = 3 + 3, 8 = 3 + 5, 10 = 5 + 5, 12 = 5 + 7, 14 = 3 + 11, 14 = 7 + 7이다. 10000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짝수 n에 대한 골드바흐 파티.. 2022. 10. 18.
[Python] 백준 4948 베르트랑 공준 - 기본 수학2(5) 백준 4948 베르트랑 공준 문제 베르트랑 공준은 임의의 자연수 n에 대하여,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명제는 조제프 베르트랑이 1845년에 추측했고, 파프누티 체비쇼프가 1850년에 증명했다. 예를 들어, 10보다 크고, 20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4개가 있다. (11, 13, 17, 19) 또, 14보다 크고, 28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는 3개가 있다. (17,19, 23)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n보다 크고, 2n보다 작거나 같은 소수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다. 각 케이스는 n을 포함하는 한 줄로 이루어져 있다. 입력의 마지막에는 0이 주어진다. 출력 각 테스트 .. 2022. 10. 17.
[Python] 백준 1929 소수 구하기 - 기본 수학2(4) 백준 1929 소수 구하기 문제 M이상 N이하의 소수를 모두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자연수 M과 N이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M ≤ N ≤ 1,000,000) M이상 N이하의 소수가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한 줄에 하나씩, 증가하는 순서대로 소수를 출력한다. 제출 m,n=map(int,input().split()) l=[i for i in range(m,n+1)] for i in l: if i>1: #1제외 for j in range(2, int(i**0.5)+1): #기존의 (2,i)는 시간 초과 if i%j==0: break else: print(i) >소수판정 시 제곱근 까지만 확인하는 이유< N=a*b라고 가정했을 때, a와 b 모두 N의.. 2022. 10. 16.
[Python] 백준 11653 소인수분해 - 기본 수학2(3) 백준 11653 소인수분해 문제 정수 N이 주어졌을 때, 소인수분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정수 N (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출력 N의 소인수분해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오름차순으로 출력한다. N이 1인 경우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는다. 제출 n=int(input()) a=2 while(n!=1):#n이 1이 될때까지 / n이 1일때 실행X if n%a==0:#a로 나눈 나머지가 0일때 print(a)#출력 n=n/a#n을 a로 나눈 나머지로 변경 else: a+=1#a로 나눠지지 않을 때 a+1해줌 예제 72 3 6 2 9991 결과 11653번: 소인수분해 첫째 줄에 정수 N (1 ≤ N ≤ 10,000,000)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2022. 10. 15.
[Python] 백준 2581 소수 - 기초 수학2(2) 백준 2581 소수 문제 자연수 M과 N이 주어질 때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골라 이들 소수의 합과 최솟값을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예를 들어 M=60, N=100인 경우 60이상 100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는 61, 67, 71, 73, 79, 83, 89, 97 총 8개가 있으므로, 이들 소수의 합은 620이고, 최솟값은 61이 된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 M이, 둘째 줄에 N이 주어진다. M과 N은 10,000이하의 자연수이며, M은 N보다 작거나 같다. 출력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인 것을 모두 찾아 첫째 줄에 그 합을, 둘째 줄에 그 중 최솟값을 출력한다. 단, M이상 N이하의 자연수 중 소수가 없을 경우는 첫째 줄에 -1을 출력한다. 제출 m=int(inpu.. 2022. 10. 14.
[Python] 백준 1978 소수 찾기 - 기본 수학2(1) 백준 1978 소수 찾기 문제 주어진 수 N개 중에서 소수가 몇 개인지 찾아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으로 N개의 수가 주어지는데 수는 1,000 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주어진 수들 중 소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제출 n=int(input()) l=list(map(int, input().split())) r=0 for i in l: if i>1: #1제외 c=0 for j in range(2, i): #2부터 i-1 까지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 if i%j==0: c+=1 if c==0: r+=1 print(r) 예제 4 1 3 5 7 결과 1978번: 소수 찾기 첫 줄에 수의 개수 N이 주어진다. N은 100이하이다. 다음.. 2022. 10. 13.
[Python] 백준 10757 큰 수 A+B - 기본 수학1(8) 백준 10757 큰 수 A+B 문제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 (0 < A,B < 10^10000) 출력 첫째 줄에 A+B를 출력한다. 제출 a,b=map(int,input().split()) print(a+b)#파이썬 같은 언어는 10,000자리 정도의 자연수도 자유롭게 다룰 수 있습니다. 예제 9223372036854775807 9223372036854775808 결과 10757번: 큰 수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2022. 10. 12.
728x90